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길조로 환영받던 백로가 요즘은 불청객 취급을 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시민들이 배설물과 소음에 고통받고 있다는 건데, 공존하는 방법은 없을까요? <br> <br>현장카메라, 곽민경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과거엔 백로는 길조였죠. <br> <br>이렇게 백로가 많으면 풍년이 든다며 환영했습니다. <br> <br>요즘엔 골칫덩어리로 전락했습니다. <br> <br>배설물 악취와 소음 때문에 인근 주민들이 고통을 호소하는 건데요. <br> <br>그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<br>경기도 고양시 창릉신도시로 향하는 왕복 8차선 도로.<br><br>대로변 숲이 온통 하얀색으로 뒤덮였습니다. <br> <br>페인트처럼 보이는데 가까이서 보니 백로 배설물입니다. <br> <br>[양영욱 / 인근 주민] <br>"새가 똥을 싸니까 소나무는 다 죽어요. 똥이 독해서." <br> <br>군데군데 백로 사체까지 보입니다. <br><br>우거진 숲에 하천까지 있어 먹이가 풍족한 환경이다보니 4년 전부터 백로 수백 마리가 이곳에 둥지를 틀었습니다.<br> <br>처음엔 반가운 손님이었는데 지금은 아닙니다. <br> <br>주민들은 창문을 여는 것도 엄두가 안 납니다. <br> <br>[김광준 / 인근 주민] <br>"이사 온 지 한 2~3년 정도 됐는데 냄새 때문에 그냥 원래 살던 데 계속 살 걸 그랬어요." <br> <br>민원이 빗발치지만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유해 조수가 아니다보니 손 쓸 방법이 없습니다. <br> <br>[고양시 관계자] <br>"포획 채취 금지 야생 생물로 지정되어 있다 보니까 강제적인 서식지 이소나 이런 거에 대처는 사실상 어렵다." <br><br>국내 최대 백로 서식지인 울산 태화강변도 사정이 비슷합니다.<br> <br>8천 마리 백로 떼가 새벽부터 울어대는 통에 주민들은 잠을 설치고, 코를 막지 않고는 살 수가 없습니다. <br> <br>[이순자 / 인근 주민] <br>"저쪽 사람 못 알아들을 정도로 시끄럽다. 깍깍." <br> <br>[최옥자 / 인근 주민] <br>"거의 양계장 냄새. 지독해." <br> <br>취재진도 변을 당했습니다. <br><br>이 냄새를 조금이라도 없애기 위해서 악취 제거제를 뿌리는 스프링클러까지 설치됐습니다.<br> <br>한 해 60톤에 달하는 제거제가 쓰이지만 소용이 없습니다. <br><br>쥐나 해충을 잡아먹어 인간에게 이로운 영향도 주는 백로. <br> <br>전문가들은 대체 서식지를 찾아서 생태 교육장을 만들거나 공원을 조성하는 등 공존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합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, 곽민경입니다. <br> <br>PD 장동하 <br>영상취재 김석현 <br>작가 전다정<br /><br /><br />곽민경 기자 minkyung@ichannela.com